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국 국채 발행과 부채의 영향 및 대책 (feat.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바이백)

by AISTORY777 2023. 10. 5.

1. 미국 국채 발행 계획

미국은 세계 최대의 경제 대국으로, 국가 재정 규모도 매우 크다. 미국 정부는 재정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한다. 2023년 8월 기준 미국의 국채 발행 규모는 약 30조 달러에 달한다.
미국 정부는 매년 약 1조 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한다. 이 중 약 70%는 재정 적자 충당을 위해, 약 30%는 기존 국채 만기 상환을 위해 사용된다.
미국 정부는 향후에도 국채 발행 규모를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재정 적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재정 적자를 줄이기 위해 세금 인상이나 지출 감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2. 미국 부채 증가

미국의 부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 미국의 국가채무는 약 30조 달러에 달한다. 이는 미국 GDP의 약 120%에 해당한다.

출처 : https://fiscaldata.treasury.gov/

미국의 부채 증가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다.
#재정 적자 확대: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위해 대규모 재정 지출을 단행했다. 이로 인해 재정 적자가 크게 확대되었다.
#경기 부양: 미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지출을 확대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 정부의 재정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부채 증가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재정 위협: 부채 규모가 커지면 재정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금리 상승: 부채 규모가 커지면 금리가 상승할 수 있다.
#경기 침체: 금리 상승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
 

3. 경기 침체 : Hard landing & Soft landing

미국 정부의 부채 증가는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 경기 침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드 랜딩(Hard landing):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가 급격하게 위축되는 경우를 말한다.
#소프트 랜딩(Soft landing):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가 완만하게 둔화되는 경우를 말한다.
미국 정부는 하드 랜딩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부채 규모가 너무 커지면 하드 랜딩이 발생할 수 있다.
 

4. 오퍼레이션 트위스트(Operation Twist)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장기 국채를 매입하고 단기 국채를 매각하는 정책을 말한다. 이 정책은 장기 금리를 낮추고 단기 금리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미국 연준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통해 경기 침체를 방지하고 부채 규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 바이백 (Buy back)

바이백은 미국 재무부가 국채를 다시 사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미국 정부는 부채 규모를 줄이기 위해 바이백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https://www.financialsense.com/podcast/20703/us-treasury-prepping-2024-buyback-program https://www.treasurydirect.gov/auctions/announcements-data-results/buy-backs/announcements/

US Treasury Prepping for 2024 Buyback Program

Oct 4, 2023 – Jesse Myers, author of the popular substack newsletter Once in a Species, details a recent announcement made by a Treasury market official on their plans to begin repurchasing US government debt in 2024. Though this...

www.financialsense.com

Buyback Announcements — TreasuryDirect

Buyback Announcements All files are in PDF Format. From 2003 to 2013, there were no Buyback Operations. Table may scroll on smaller screens (use the scroll bar on the right to see the entire table)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02 200

www.treasurydirect.gov

바이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장점)
부채 규모 감소: 미국 정부는 국채를 다시 사들임으로써 부채 규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금리 안정: 바이백을 통해 시중에 유통되는 국채의 양이 줄어들면, 금리가 안정될 수 있습니다.
시장 안정: 바이백을 통해 국채 시장의 안정을 도울 수 있습니다.
(단점)
하지만, 바이백은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습니다.
재정 지출 증가: 바이백을 통해 국채를 다시 사들이면, 재정 지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시장 왜곡: 바이백을 통해 시장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바이백을 통해 부채 규모를 줄이고, 경기 침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이백은 단점도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5006

미 재무부, 내년부터 국채 바이백 계획…유동성 개선 - 연합인포맥스

미 재무부가 23조 달러 규모의 미 국채 유동성을 늘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내년에 국채 바이백을 할 것이라고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워싱턴 D.C.의 재무부 건물. 연합뉴스 자료 사진재무부

news.einfomax.co.kr

 

6. 미국 국채 투자 전망 (단기, 장기)

미국 국채는 안전 자산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근 들어 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 투자 전망은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의 성장과 함께 미국 국채의 매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USD - KING !!!

7. 결론

미국 정부의 부채 증가는 미국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부채 증가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 국채 투자자는 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를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미국 국채에 대한 적립식 투자 또는 향후 3년간 버틸 수 있는 일부 자금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시기 입니다.
 
https://www.aceetf.co.kr/fund/K55101E03860

한국투자 ACE ETF

ETF의 에이스, ACE ETF

www.aceetf.co.kr